삼성 하우젠 K-리그 2005 | |
---|---|
![]() 포스코 K리그 2005 로고 | |
대회 명칭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5 |
세부 종목 | FIFA 06 |
결과 | |
![]() |
![]() |
![]() |
![]() |
최우수 선수 | 라돈치치 |
최다 득점 | 이천수 (12골) |
최우수 감독 | 장외룡 |
총 경기 | 380 |
« 2004 2006 » |
2005년 K-리그는 K-리그의 6번째 시즌이다. 이안 포터필드를 사령탑으로 한 부산 아이파크의 전기리그 우승과 후기리그 부진, 축구 천재라 불렸던 박주영의 데뷔, 그리고 비록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지는 못했지만 두 번째로 시즌에 참가한 인천 유나이티드의 통합 성적 우승 등이 그것이다.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던 2004년 리그 우승 팀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시즌 초반 A3 챔피언스컵, 슈퍼컵, 하우젠컵 등을 우승하며 기대를 모았으나, 나드손, 김남일, 송종국, 김진우 등 주축 선수들의 줄 부상으로 팀 역사상 가장 어려운 시즌을 보냈다.
한편, 후기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부산 아이파크이 전기 리그 우승으로 최종전에 진출한 사례나 통합 성적 우승인 인천 유나이티드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지 못한 것은 전후기 리그와 플레이오프로 진행되는 리그 방식에 큰 문제점이 있음을 보여줬다.
시즌 개요[]
운영 방식[]
참가 구단[]
# | 팀명 | 연고지 | 리그 참여년도 |
---|---|---|---|
1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 2000년 |
2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광역시 | 2000년 |
3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2000년 |
4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2000년 |
5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2000년 |
6 | 대전 시티즌 | 대전광역시 | 2000년 |
7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2000년 |
8 | FC 서울 | 서울특별시 | 2000년 |
9 | 부산 아이콘스 | 부산광역시 | 2000년 |
10 | 광주 상무 불사조 | 광주광역시 | 2003년 |
11 | 대구 FC | 대구광역시 | 2003년 |
12 | 부천 SK | 부천시 | 2000년 |
13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광역시 | 2004년 |
정규 리그[]
플레이오프[]
6강 플레이오프[]
팀1 | 합계 | 팀2 | 경기장 | ||
---|---|---|---|---|---|
![]() |
포항 스틸러스 | 3-2 | 부산 아이파크 | ![]() |
포항스틸야드 |
![]() |
대구 | 3-0 | 전남 드래곤즈 | ![]() |
전주월드컵경기장 |
준플레이오프[]
팀1 | 합계 | 팀2 | 경기장 | ||
---|---|---|---|---|---|
![]() |
포항 스틸러스 | 2-3 | 대구 | ![]() |
포항스틸야드 |
플레이오프[]
팀1 | 합계 | 팀2 | 경기장 | ||
---|---|---|---|---|---|
![]() |
부천 SK | 2-3 | 대구 | ![]() |
부천종합운동장 |
챔피언 결정전[]

2005년 12월 4일 | ||||||
![]() |
2 - 1 | 대구 FC ![]() |
인천문학경기장 (인천시) 관중수: 35,356명 맨 오브 더 매치: 라돈치치 | |||
K리그1 시즌 | |
---|---|
2000년대 | |
2010년대 | |
2020년대 |